
안녕하세요, 야메군입니다. 오늘은 우리가 비교적 흔하게 접하는 성과 측정지표 중 하나인 MAU와 DAU에 대해 이야기 해볼까 합니다. 다들 아시다싶히 MAU는 “Monthly Active Users” 즉, 월간 순이용자 또는 월간 활성 유저를 의미하고 DAU는 “Daily Active Users” 즉, 일간 순이용자 또는 일간 활성유저를 의미하죠. 각 용어의 의미는 이미 여러 지면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만큼 여기선 생략하도록 하고요, 이 용어들은 과거 UV(Unique Visitor)로 불렸으나 이것을 월간, 일간으로 세분화한 것이 지금의 MAU, DAU 입니다. 해당 지표는 가입자수, 매출, 시장점유율과 더불어 서비스의 성장 여부를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로써 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투자가 필요한 ..

안녕하세요, 야메군입니다. 이제 와서 고백하는 거지만, 저는 수포자입니다. 아니, 정확히는 수포자였습니다. 물론 지금도 수학에 애를 먹는 건 변함없지만, 그래도 전보다는 수학을 대할 때 거부감보다는 흥미로움으로 접근하는 경향이 많아졌죠. 수학을 포기하기 시작한 시점... 아마 초등학교 4학년 즈음이었던 것 같아요. 운동을 한다는 핑계이긴 했지만 다른 과목에 비해 수학은 정말 손을 놨다 싶을 만큼 아예 내려놓고 살았습니다. 고 3 때 종합학원 다니며 바짝 공부한 덕택에 수능... 음.. 400점 만점이던 시절에 300점이 넘었으니 꽤 잘 봤다고 할 수 있는데, 수학은... 8점 나왔습니다.ㅎㅎㅎ 찍어도 15점은 나올 수 있었을텐데, 자존심상 찍고 싶진 않아서 아무것도 모르는 순백의 머리를 가졌음에도 열심히..

안녕하세요? 야메군 입니다. "처음부터 다시 배우는 웹 기획"의 저자(최준호)가 직강하는 "12주 만에 완성하는 기획마인드 강좌" 90시즌을 오는 2023년 10월 21일(토)부터 2024년 1월 6일(토)까지 총 12주 간 Zoom을 이용한 온라인 실시간 비대면강의를 진행합니다. 본 강의에는 그간 80여 회의 강좌를 통해 축적된 수 많은 기획자들의 성장에 대한 Needs의 핵심이 담겨 있습니다. 그리고 약 23년간 커머스·커뮤니티·게임·컨텐츠·교육·O2O 등 다양한 Business domain에서의 실무 경험과 인사이트, 여기에 강사 본인이 기획자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필요로 했던 기획적 개념과 아무도 알려주지 않는 학습방법에 이르기까지 성장하는 기획자들에게 꼭 필요한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이러한 내용..

안녕하세요, 야메군 입니다. 스타트업에서 일하시거나 마케팅에 관심이 있으신 분이라면 "ARR" 또는 "AARRR"이라는 용어를 한 번쯤은 접해본 적이 있을 겁니다. 무슨 영어 단어도 아니고 UI나 UX 같은 익숙한 약자도 아닌, 마치 키보드 잘못 쳤을 때 나오는 것 같은 용어인 AARRR... 오늘은 이 용어의 개념을 먼저 살펴보고 차후 기회가 된다면 각 비즈니스 도메인에서 바라보는 AARRR에 대해서도 정리해보겠습니다. AARRR은 2007년 즈음, 스타트업 엔젤 투자를 전문으로 하는 엑셀러레이터 500 Startup의 설립자인 Dave McClure이 스타트업 컨퍼런스에서 소개한 이후 해외 그로스 해킹 커뮤니티를 통해 확산된 비즈니스 분석 방법입니다. 해당 개념이 나오기 전까지만 해도 투자사에서 투자..

안녕하세요? 야메군입니다. "처음부터 다시 배우는 웹 기획"의 저자(최준호)가 직강 하는 "기획의 기본기 따라잡기 스터디" 첫 번째 시즌을 오는 2023년 8월 29일(화)부터 2023년 9월 26일(화)까지 총 5주간 강남역 인근 스터디 룸에서 진행합니다. 본 스터디는 "12주 완성 기획 마인드 강좌"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강의 속 스터디" 커리큘럼이나 스터디 참여자들의 좋은 평가에 따라 "기획 마인드 강좌" 참여자뿐만 아니라 많은 분들께 학습의 기회를 마련하고자 독립 스터디로도 진행해보고자 합니다. 본 스터디는 실습 중심의 커리큘럼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규모 첨삭 스터디로 철저히 주니어 기획자의 실무 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춰서 진행됩니다. 스타트업을 포함한 온라인 서비스 업종에서 일하는 기..

안녕하세요? 야메군입니다. 저는 2008년부터 한 해도 거르지 않고 기획자를 대상으로 하는 직무교육을 진행해 왔습니다. 이렇게 오랜 기간 강의를 해오다 보니 정확히 셈을 해보진 않았지만 얼추 다섯 자릿수 정도의 수강생을 만나왔습니다. 그 과정에서 강의를 통해 성장의 터닝 포인트를 마련하셨다는 분도 계셨고 좋은 직장에 취업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는 분이나 현재 고민 중인 업무의 해법을 찾을 수 있었다는 분, 좋은 사수를 얻었다는 분, 직무의 방향성에서 갈피를 잡지 못했는데 강의를 접한 후 기획자로써의 길을 알게 되었다는 분 등 정말 다양한 말씀을 직, 간접적으로 들어왔습니다. 물론 개중에는 강의의 만족도가 낮았던 분도 더러 있었던 거 같고요. 하지만 첫 강의 시점에서 15년이 지난 지금에도 여전히 기획 ..

안녕하세요? 야메군 입니다. "처음부터 다시 배우는 웹 기획"의 저자(최준호)가 직강하는 "12주 만에 완성하는 기획마인드 강좌" 89시즌을 오는 2023년 7월 15일(토)부터 2023년 10월 7일(토)까지 총 12주 간 Zoom을 이용한 온라인 실시간 비대면강의를 진행합니다. (9월 30일은 추석 연휴 기간으로 10월 7일에 진행합니다.) 본 강의에는 그간 80여 회의 강좌를 통해 축적된 수 많은 기획자들의 성장에 대한 Needs의 핵심이 담겨 있습니다. 그리고 약 23년간 커머스·커뮤니티·게임·컨텐츠·교육·O2O 등 다양한 Business domain에서의 실무 경험과 인사이트, 여기에 강사 본인이 기획자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필요로 했던 기획적 개념과 아무도 알려주지 않는 학습방법에 이르기까지 성..

안녕하세요, 야메군 입니다. 회사 개발자들과 미팅을 하다 보면, 간간히 언급되는 용어 중 하나가 트랜잭션(Transaction)인데요. 부끄럽게도 오랜 기간 온라인 서비스 업종에서 일한 저도 느낌적인 느낌으로 알고 있었을 뿐, 트랜잭션의 개념이나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언급되는 트랜잭션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잘 몰랐습니다. 그러던 중 현재 재직중인 SaaS 기반의 모니터링 솔루션 회사, 와탭랩스에서 일하게 되면서 트랜잭션이란 용어를 명확하게(?)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트랜잭션을 한마디로 정의하자면 “하나의 완성된 결과를 내기 위한 연산 과정” 정도로 설명할 수 있는데요. 좀 더 쉽게 설명하자면 이런거죠. 우리가 이용하는 대부분의 온라인 서비스들은 멤버쉽 기반으로 운영됩니다. 한마디로 가입을 해야하고 로..

엊그제 일인 것 같은데 벌써 3년이 흘렀습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막 시작되었던 2020년 봄 즈음, 정부는 코로나 집단 감염이 이루어진 특정 장소를 대상으로 코호트 집단 격리라는 조치를 발동했는데요, 데이터를 다루는 분들에게 있어서 코호트라는 단어는 무척 익숙한 단어일 테지만, 그렇지 못한 대다수의 경우는 "코호트 격리=가둬놓는 것" 정도로 이해하셨을지도 모릅니다. 여러분은 어떠세요? 들어보긴 좀 들어봤는데, 그 의미나 사용 방법에 대해서도 정확히 알고 계신가요? 코호트 분석(Cohort Analysis)은 특정 기간에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는 집단(코호트)을 만들고, 그 집단 내에서의 변화를 추적하여 이해하는 분석 기법입니다. 아, 분석 기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코호트란 개념을 잠깐 설명해볼게요. 코..

언제부터 였을까요? B2C, B2B, C2C, B2B2C, B2G, B2E와 같은 비즈니스 용어들이 좀 익숙해졌다 싶었는데, 대략 10여년 전쯤부터 IaaS, PaaS, SaaS 같은 새로운 비즈니스 개념이 하나씩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고, 현재는 기업 대상 비즈니스 모델의 한 축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아.. 점점 따라가기 버겁다...)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PaaS(Platform as a Service), SaaS(Software as a Service)와 같은 용어는 B2B 중에서도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비즈니스 모델을 구체화한 개념입니다. 이들은 클라우드 환경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서비스 모델로 고객의 니즈에 맞게 서비스를 세분화하여 제공한다는 공통적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