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엊그제 일인 것 같은데 벌써 3년이 흘렀습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막 시작되었던 2020년 봄 즈음, 정부는 코로나 집단 감염이 이루어진 특정 장소를 대상으로 코호트 집단 격리라는 조치를 발동했는데요, 데이터를 다루는 분들에게 있어서 코호트라는 단어는 무척 익숙한 단어일 테지만, 그렇지 못한 대다수의 경우는 "코호트 격리=가둬놓는 것" 정도로 이해하셨을지도 모릅니다. 여러분은 어떠세요? 들어보긴 좀 들어봤는데, 그 의미나 사용 방법에 대해서도 정확히 알고 계신가요? 코호트 분석(Cohort Analysis)은 특정 기간에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는 집단(코호트)을 만들고, 그 집단 내에서의 변화를 추적하여 이해하는 분석 기법입니다. 아, 분석 기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코호트란 개념을 잠깐 설명해볼게요. 코..

언제부터 였을까요? B2C, B2B, C2C, B2B2C, B2G, B2E와 같은 비즈니스 용어들이 좀 익숙해졌다 싶었는데, 대략 10여년 전쯤부터 IaaS, PaaS, SaaS 같은 새로운 비즈니스 개념이 하나씩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고, 현재는 기업 대상 비즈니스 모델의 한 축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아.. 점점 따라가기 버겁다...)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PaaS(Platform as a Service), SaaS(Software as a Service)와 같은 용어는 B2B 중에서도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비즈니스 모델을 구체화한 개념입니다. 이들은 클라우드 환경을 기반으로 제공되는 서비스 모델로 고객의 니즈에 맞게 서비스를 세분화하여 제공한다는 공통적인 ..

서비스 기획자가 개발자와의 커뮤니케이션 중 높은 빈도로 듣게 되는 IT 용어 중 하나가 바로 API 입니다. 뭔가 개발 용어 갖기도 하고 아닌 것 같기도 하고... 어떤 개발자는 API가 필요한 항목이 어떤 것들이 있고, 그에 대한 세부적인 정책을 기획자한테 정하라고 하는데, 도대체 뭘 하라는 건지 당췌 알 수는 없고... 면접에서 API에 대해 아느냐고 묻는데 당황해서 식은 땀만 나오는 상황... 오늘은 API에 대해 이해하기 쉽도록 정리 해볼게요. API는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약자로, 소프트웨어 간에 상호작용을 위한 인터페이스입니다. 이는 애플리케이션(서비스) 간 데이터의 주고받거나 외부의 다른 서비스를 연동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입니다. 또한 서버와 클라이언..

주니어 기획자 시절, 개발자들과 일하면서 매칭(Matching)이란 단어와 매핑(Mapping)이란 단어를 자주 들었었는데, 당시만 해도 이 두 단어의 차이를 잘 몰랐습니다. 그냥 개발자 마다 어떤 개발자는 매핑이라고 하고 어떤 개발자는 매칭이라고 하는 정도로 알고 있었죠. 물론 단어의 사전적 의미야 알고 있었지만, 그 둘 사이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는 사전적 의미만으로는 알 수 없었거든요. 그러다가 연차가 어느 정도 쌓이고 매핑과 매칭이라는 개념을 업무에 대입해보게 되면서 "아... 매핑과 매칭은 다른 거였구나!"를 알게 되었습니다. 아마 이 글을 보시는 여러분들 중 일부는 저의 주니어 시절 때처럼 그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한 분도 계시리라 생각합니다. 어차피 시간이 지나고 경험이 쌓이게 되면 차차..
2014년 한 해.. O2O라는 용어가 많이 회자되었는데요, O2O는 "Online to Offline"의 약자로 온라인을 통해 고객 유입을 유도하여 오프라인으로 수익을 내는 마케팅 모델입니다. 업계 종사자가 아니더라도 오프라인 상품을 온라인 쇼핑몰에서 구매해 본 경험을 가진 사용자라면 이 개념은 그리 새로울 게 없어보일 수도 있습니다만, O2O의 마케팅적 개념을 벗어나 이를 좀 더 세분화하면 커머스 사업 관점의 O2O, 광고사업 관점의 O2O, 그리고 기술적 관점으로 접근하는 O2O 정도로 나눠볼 수 있겠습니다. 커머스와 O2O의 환상적인 조합 여기서 커머스냐 아니냐의 차이는 "고객이 돈을 지불하는가? 사업자가 지불하는가?"로 구분지을 수 있습니다. 혹자는 iBeacon 같은 근거리 감지기술을 활용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