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한나
선배, 화면기획서는 이제 어느 정도 익숙해졌는데요… QA팀이 테스트케이스를 요청하더라고요.
그건 또 어떻게 만드는 건가요?

🧑🏻💼선배
오, 그 질문이 나올 줄 알았어. 테스트케이스는 ‘서비스가 제대로 동작하는지 하나씩 검증할 수 있도록 시나리오를 정리한 문서’야.

👩🏼💼한나
그럼 기획자가 그걸 왜 만들어요? QA팀에서 하면 되는 거 아닌가요?

🧑🏻💼선배
QA팀은 기능을 테스트하긴 하지만, ‘이 기능이 왜 필요한가’, ‘어떤 흐름이 있어야 정상인가’를 가장 잘 아는 건 기획자잖아.
그래서 기획자의 의도를 반영한 테스트케이스가 꼭 필요해.

🧑🏻💼선배
테스트케이스 작성할 때는 다음 세 가지를 꼭 챙겨야 해.
기능 기반: 예를 들어 ‘로그인’이라면 → 정상 로그인, 틀린 비밀번호, 미입력, 자동 로그인 여부 등 다양한 케이스를 나열해야 해.
흐름 기반: ‘회원가입 → 이메일 인증 → 로그인’처럼 사용자의 주요 흐름도 체크해야 해.
예외 처리: 인터넷 끊김, 잘못된 입력값, 중복 요청 같은 상황도 테스트 항목에 포함시켜야 해.
No. | 기능 | 테스트 항목 | 기대 결과 | 비고 |
1 | 로그인 | 올바른 ID/PW 입력 | 메인 페이지 이동 | PASS |
2 | 로그인 | 잘못된 PW 입력 | 에러 메시지 노출 | PASS |
3 | 회원가입 | 이메일 중복 입력 | "이미 사용 중인 이메일 입니다." 메시지 노출 | PASS |
4 | 마이페이지 | 로그인 없이 접근 시도 | 로그인 페이지로 리다이렉트 | FAIL |

👩🏼💼한나
와… 이건 거의 기획서를 다시 쪼개서 다시 쓰는 느낌인데요?

🧑🏻💼선배
맞아, 그래서 기획 초반부터 ‘테스트를 상상하며 기획하는 습관’이 중요해. 테스트케이스는 기획의 완성도를 높여주는 마지막 점검표 같은 거니까.

한 줄 요약:
테스트 케이스는 기획 의도를 검증하는 체크리스트이며, 기능, 흐름, 예외를 기준으로 구성해야 합니다.
온라인 공간에서 야메군이란 닉네임으로 활동 중인 25년 차 서비스 기획자. 네이버 웹/모바일 기획자 커뮤니티 웹(WWW)을 만드는 사람들에서 운영진으로 활동했으며, 딴지일보를 시작으로 아이러브스쿨, 메가엔터프라이즈, 짱공유닷컴, YES24를 거쳐 IT 원천기술 연구소 Valhalla Lab에서 Pattern recognition과 Machine learning 기반의 Natural language processing 기술의 상업적 이용방법에 대한 연구. 최근 스타트업계로 이직, 반려동물과 온라인 피트니스 분야를 경험했고 자율주행 도메인을 거쳐 현재 SaaS 기반 Monitoring 도메인에서 유일한 기획자로 재직 중. 2016년 7월, 웹/모바일 기획자의 업무능력 향상을 위한 서적 “처음부터 다시 배우는 웹 기획”(정재용, 최준호, 조영수 공저) 출간. 2008년부터 약 15년간 서비스기획자의 성장을 위한 온/오프 강의를 통해 후배 기획자를 양성 중.
'똘끼의 웹기획론. > 주니어의 백문백답' 카테고리의 다른 글
Q22. 애자일 조직에서 기획자는 무슨 일을 해야하나요? (0) | 2025.08.27 |
---|---|
Q21. 합격 취소가 되었어요.. 어떻게 해야해요? (0) | 2025.08.22 |
Q20. 신입 기획자의 포트폴리오는 어떻게 구성하나요? (0) | 2025.07.17 |
Q19. 일 잘하는 기획자의 커뮤니케이션 방법이 궁금해요. (3) | 2025.07.15 |
Q18. AI를 잘 활용하는 기획자가 되고 싶어요! (0) | 2025.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