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재우 :
선배님, 그런데요… 아까 KPI 얘기 들으면서 또 궁금해졌는데요.
PO 입장에서 전체 KPI 프레임을 설계해야 할 때,
그건 그냥 “총 가입자 수”, “총 매출” 같은 거 정리해두는 거예요?
그보다 뭔가 더 구조가 있는 것 같던데…
선배 :
하… 어째 내가 KPI 얘기 꺼냈을 때 눈 반짝이더라.
좋아, 이건 좀 제대로 들어야 돼.
PO는 단일 지표가 아니라 ’프레임(틀)’을 만들어야 하는 사람이야.
다시 말해서 PO는 단순 숫자를 쫓는 게 아니라 제품(Product)의 생애주기 전체를 아우르는
“지표 체계”를 설계해야 해. 이걸 단계 별로 구분해볼께. 먼저 목표 설정 단계야.
구분 | 예시 |
제품 단계 | 신규 제품 초기 |
비즈니스 목표 | 신규 사용자 확보 |
서비스 목표 | 가입 유도 또는 첫 이용 완수 |
선배 :
두 번째로 프레임워크를 선택해야해.
대표적으로 AARRR이 있고 North Star Metric 정도가 있는데,
PO는 조직의 목표와 제품의 특성에 맞게 프레임을 골라야 해.
AARRR은 전체 퍼널 관리, NSM은 하나의 핵심 가치를 밀고 가는 구조야.
프레임 | 설명 | 활용 예시 |
AARRR (관련 글 읽기) | 획득>활성화>유지>수익>추천 | 스타트업 또는 앱 서비스 |
North Star Metric | 가장 핵심적인 제품 가치 중심 | B2B SaaS, 핵심 기능 집중형 서비스 |
선배 :
세 번째로 지표 정의 및 계층화 설계 단계를 진행해야해.
예컨데 이런 구조야. PO는 이걸 기능/팀/스프린트 단위로 백로그와 연결해서 지속적으로
추적, 관찰, 조정해야해.
최상위 KPI | 1 | 월간 활성사용자(MAU), 유료 전환율(%) | ||
중간 지표 | 1.1 | 회원가입 > 온보딩 전환율(%) > 첫 기능 사용률(%) | ||
세부 지표 | 1.1.1 | Push 클릭률(%), 리뷰 등록률(%), 기능 별 클릭 수 |
선배 :
마지막 네 번째로는 팀 별 KPI를 연결해줘야해.
예를 들어 마케팅팀이라면 가입 전환율(%)이나 유입 대비 활성 비율(%)을 연결할 수 있고,
서비스기획팀이라면 기능 도달률(%), 기능 사용 유지율(%) 같은 지표를..
그리고 CS/운영팀이라면 평균 응답 시간이나 이슈 해결율(%)을 연결해주는 식이지.
KPI는 PO 혼자서 만들 수 없고 각 팀과 함께 조율하고 연결하는 구조로
설계되어야 진짜 의미가 있는거야.
재우 :
와.. PO의 역할이 단순히 "숫자를 정리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제품 전체의 방향성과 구조를 수치로 설계하는 일이네요!
선배 :
맞아.
PO는 ‘제품 전략가’야.
그래서 KPI도 수치의 나열이 아니라 전략의 시각화야.
좋은 KPI 프레임은 백로그, 일정, 회고까지 다 연결되는 하나의 뼈대거든.
더불어 재우님이 당장 PO 직무를 수행한다면 다음과 같은 문서를 만들어야해. 알겠지?
1. 제품 목표/비전 요약
2. 핵심 지표 프레임워크 선정 이유
3. 각 퍼널 단계별 KPI + 수치 목표
4. 각 KPI에 대한 데이터 수집 방법과 측정 주기
5. 각 지표와 백로그 간 연동 구조 (예: Notion, Jira 등으로 연결)
한 줄 정리
PO의 KPI는 기능 하나하나의 수치를 넘어서,
제품 전체의 전략을 수치화하고 퍼널 구조로 연결하는 설계 작업입니다.
온라인 공간에서 야메군이란 닉네임으로 활동 중인 25년차 서비스 기획자. 네이버 웹/모바일 기획자 커뮤니티 웹(WWW)을 만드는 사람들에서 운영진으로 활동했으며, 딴지일보를 시작으로 아이러브스쿨, 메가엔터프라이즈, 짱공유닷컴, YES24를 거쳐 IT 원천기술 연구소 Valhalla Lab에서 Pattern recognition과 Machine learning 기반의 Natural language processing 기술의 상업적 이용방법에 대한 연구. 최근 스타트업계로 이직, 반려동물과 온라인 피트니스 분야를 경험했고 자율주행 도메인을 거쳐 현재 SaaS 기반 Monitoring 도메인에서 유일한 기획자로 재직 중. 2016년 7월, 웹/모바일 기획자의 업무능력 향상을 위한 서적 “처음부터 다시 배우는 웹 기획”(정재용, 최준호, 조영수 공저) 출간. 2008년부터 약 15년간 서비스기획자의 성장을 위한 온/오프 강의를 통해 후배 기획자를 양성 중.
'똘끼의 웹기획론. > 주니어의 백문백답' 카테고리의 다른 글
Q8. 런칭 전 테스트(QA)는 어떤 순서로 진행하나요? (0) | 2025.06.30 |
---|---|
Q7. KPI는 누가 어떻게 설정하나요? (2) | 2025.06.29 |
Q6. 백로그 정리는 얼마나 자주 해야 하나요? (0) | 2025.06.28 |
Q5. 요구사항 정의는 어떤 식으로 하나요? (4) | 2025.06.27 |
Q4. 좋은 기획이란 어떤 기획인가요? (0) | 2025.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