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리 :“선배님, 기획자 포지션으로 이직 준비 중인데요, 제가 1년 정도 경력 공백이 있거든요.면접에서 어떻게 설명해야 덜 불리할까요?”선배 : 유리님, 누구나 커리어를 쉬는 시기가 생길 수 있어요.그 자체로 불리한 건 아니에요.중요한 건 그 시간을 어떻게 보냈고, 지금 어떻게 연결 지을 수 있는지예요.만일 제가 유리님의 입장이라면 이런 부분을 생각할 것 같아요.먼저 공백 이유는 명확하고 간결하게 설명해야 해요.예컨데 건강 상의 이유나 직무의 방향성을 탐색했다거나 하는 이유가 있을텐데,"왜 쉬었는지"보다는 쉬면서 무엇을 했고 무엇을 배웠는지에 집중하는 설명이 필요해요.또한 기획자로써 감각을 유지하기 위해 어떤 활동을 했는가도 중요해요.사이드 프로젝트를 했다거나 기존 포트폴리오의 업데이트와 Figma, S..

소연 :선배님… 저 사실 좀 걱정돼요.3년 차인데 벌써 세 번째 회사를 다니고 있거든요.주니어일수록 한 회사에 오래 있는 게 좋다는 말도 있고,이직이 잦으면 커리어에 불이익이 있다는 얘기도 많아서요…정말 그런가요?선배 :음, 소연님. 이직 생각 있어? 아직 하산할 때가 안되었는데..일단 질문에 대한 답을 하자면 ‘경우에 따라’ 다르다고 말해주고 싶어.단순히 횟수만으로 평가하진 않지만, 이직의 ‘맥락’과 ‘메시지’가 없다면 불리할 수도 있지.내 관점에서 볼 때 이직의 횟수보다 중요한 3가지의 포인트가 있어. 항목채용자(면접관)가 보는 핵심 질문방향성"이 사람은 커리어의 방향성을 가지고 움직이고 있나?"성장성"이직마다 실력과 책임이 커졌는가?"맥락성"왜 옮겼는지 설득력 있게 설명 가능한가?"선배 :만일 잦은..
제가 근무 중인 회사에서는 최근, 사업 확장 및 서비스 개편이슈와 맞물려 여러 직군에 걸쳐 신입/경력직에 대한 공개채용을 진행하고 있고, 대표적인 구직사이트인 J사와 S사에 접수된 입사지원서를 바탕으로 역량있는 분들을 대상으로 면접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사업확장의 중심에 서 있는 IT 분야에서도 기획과 디자인, 퍼블리싱, 개발 등 분야 전반에 걸친 포지션을 구인하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저는 면접관의 위치에서 기획 포지션의 1차 실무면접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대략 제 하루 일과의 1/3 가량을 면접에 투자하며, 좋은 인재를 뽑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늘 진지하게 면접에 임해보지만, 실질적으로 기대에 충족할만한 입사지원자는 열 명에 한 명쯤 될까말까 합니다. 혹여나 저의 이런 생각에 보는 눈이 높아서 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