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야메군 입니다. "처음부터 다시 배우는 웹 기획"의 저자(최준호)가 직강하는 "12주 만에 완성하는 기획마인드 강좌" 95시즌을 오는 2025년 2월 8일(토)부터 2025년 5월 3일(토)까지 총 12주 간 온라인 실시간 비대면강의(Zoom)를 진행합니다!! 본 강의에는 그간 90여 회의 강좌를 통해 축적된 수 많은 기획자들의 성장에 대한 Needs의 핵심이 담겨 있습니다. 그리고 약 24년간 커머스·커뮤니티·게임·컨텐츠·교육·O2O 등 다양한 Business domain에서의 실무 경험과 인사이트, 여기에 강사 본인이 기획자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필요로 했던 기획적 개념과 아무도 알려주지 않는 학습방법에 이르기까지 성장하는 기획자들에게 꼭 필요한 내용을 다룹니다. 이러한 내용들을 모두 담..

안녕하세요? 야메군 입니다."처음부터 다시 배우는 웹 기획"의 저자(최준호)가 직강하는 "12주 만에 완성하는 기획마인드 강좌" 92시즌을 오는 2024년 4월 27일(토)부터 2024년 7월 13일(토)까지 총 12주 간 Zoom을 이용한 온라인 실시간 비대면강의를 진행합니다. 본 강의에는 그간 90여 회의 강좌를 통해 축적된 수 많은 기획자들의 성장에 대한 Needs의 핵심이 담겨 있습니다. 그리고 약 23년간 커머스·커뮤니티·게임·컨텐츠·교육·O2O 등 다양한 Business domain에서의 실무 경험과 인사이트, 여기에 강사 본인이 기획자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필요로 했던 기획적 개념과 아무도 알려주지 않는 학습방법에 이르기까지 성장하는 기획자들에게 꼭 필요한 내용을 다룹니다. 이러한 내용들을..

안녕하세요, 야메군입니다. 오는 3월 9일(토)에 대학로 인근 소극장에서 맥비톡방(맥비)과 기획 멘토링방(노노니)의 연합 토크콘서트 "친해지길 바래"행사가 진행됩니다. 고객과 PM, 개발자와 디자이너 사이에서 기획자로 살아남는 방법과 더 나아가 성장의 발판을 만들 수 있는 선배 기획자의 숨겨둔 인사이트를 공유합니다. 총 4개의 세션으로 운영되는 이번 행사에는 맥비톡방을 운영하시는 맥비님과 기획 멘토링방을 운영하시는 노노니님 그리고 IT 입문자를 위한 유튜브를 운영하고 계신 불꽃남자님과 저 야메군이 스피커로 참석하고요, 여러분들의 고민을 함께 나누고 해법을 같이 고민하는 시간이 되면 좋겠습니다. 이제 얼마 남지 않았는데요, 참여를 원하시는 분은 아래의 링크를 통해 참가신청서를 작성해주시기 바라며, 자세한 ..

안녕하세요, 야메군입니다. 앞서 "내가 가징 특징과 장점은 무엇일까?"라는 주제로 글을 적어 봤습니다. 앞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해당 글은 회고의 목적으로 작성했으며, 직무적 역량 이외에 내가 가진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서술해 본 글입니다. 그에 이어 이번 주제는 보완해야 할 점을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순간 나의 치부를 드러내는 느낌이라 좀 부끄러움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다른 한 편으론 공개되어야만 누군가는 이행 여부를 지켜볼 것이고 제 스스로도 보완이 필요한 점을 명백히 인지할 수 있겠다는 생각에 보완사항을 정리해 보는 것이 필요하겠다는 생각입니다. 그럼 제게 필요한 보완요소는 무엇이 있을까... 한 번 정리해 보겠습니다. 1. 방향성에 관한 한 타협을 보지 않는다. 23년 차쯤 됐으면 오너의 생각에 ..

안녕하세요, 야메군입니다. 현재 근무 중인 직장, Whatap Lab에서 근무한 지 1년이 조금 넘은 시점. 회고 겸 그간의 레퍼런스를 정리하고 있습니다. 그러던 중 문득 서비스 기획자로써 직무 관련 역량에만 방점을 찍고 스스로를 어필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더군요. 그래서 야메군이란 닉네임을 사용하는 위기의 중년 "최준호"를 설명할 수 있는 다른 무언가(?)의 장점에 대해 곰곰이 생각해 봤습니다. 1. 소속된 조직에 대한 애정이 있습니다. 어느 조직에서 일하든 간에 조직과 회사에 대한 애사심이 남다른 편입니다. 과거의 기억을 떠올려보면 주변의 지인들을 통해 이런 말들을 많이 들었습니다. "회사에 그렇게 충성해 봐야 너한테 남는 건 없어" "회사에 대한 애정을 그리 갖는다고 한들, 누가 알아..

안녕하세요, 야메군입니다. 이제 와서 고백하는 거지만, 저는 수포자입니다. 아니, 정확히는 수포자였습니다. 물론 지금도 수학에 애를 먹는 건 변함없지만, 그래도 전보다는 수학을 대할 때 거부감보다는 흥미로움으로 접근하는 경향이 많아졌죠. 수학을 포기하기 시작한 시점... 아마 초등학교 4학년 즈음이었던 것 같아요. 운동을 한다는 핑계이긴 했지만 다른 과목에 비해 수학은 정말 손을 놨다 싶을 만큼 아예 내려놓고 살았습니다. 고 3 때 종합학원 다니며 바짝 공부한 덕택에 수능... 음.. 400점 만점이던 시절에 300점이 넘었으니 꽤 잘 봤다고 할 수 있는데, 수학은... 8점 나왔습니다.ㅎㅎㅎ 찍어도 15점은 나올 수 있었을텐데, 자존심상 찍고 싶진 않아서 아무것도 모르는 순백의 머리를 가졌음에도 열심히..

안녕하세요? 야메군입니다. 저는 2008년부터 한 해도 거르지 않고 기획자를 대상으로 하는 직무교육을 진행해 왔습니다. 이렇게 오랜 기간 강의를 해오다 보니 정확히 셈을 해보진 않았지만 얼추 다섯 자릿수 정도의 수강생을 만나왔습니다. 그 과정에서 강의를 통해 성장의 터닝 포인트를 마련하셨다는 분도 계셨고 좋은 직장에 취업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는 분이나 현재 고민 중인 업무의 해법을 찾을 수 있었다는 분, 좋은 사수를 얻었다는 분, 직무의 방향성에서 갈피를 잡지 못했는데 강의를 접한 후 기획자로써의 길을 알게 되었다는 분 등 정말 다양한 말씀을 직, 간접적으로 들어왔습니다. 물론 개중에는 강의의 만족도가 낮았던 분도 더러 있었던 거 같고요. 하지만 첫 강의 시점에서 15년이 지난 지금에도 여전히 기획 ..

안녕하세요? 야메군 입니다. "처음부터 다시 배우는 웹 기획"의 저자(최준호)가 직강하는 "12주 만에 완성하는 기획마인드 강좌" 89시즌을 오는 2023년 7월 15일(토)부터 2023년 10월 7일(토)까지 총 12주 간 Zoom을 이용한 온라인 실시간 비대면강의를 진행합니다. (9월 30일은 추석 연휴 기간으로 10월 7일에 진행합니다.) 본 강의에는 그간 80여 회의 강좌를 통해 축적된 수 많은 기획자들의 성장에 대한 Needs의 핵심이 담겨 있습니다. 그리고 약 23년간 커머스·커뮤니티·게임·컨텐츠·교육·O2O 등 다양한 Business domain에서의 실무 경험과 인사이트, 여기에 강사 본인이 기획자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필요로 했던 기획적 개념과 아무도 알려주지 않는 학습방법에 이르기까지 성..

안녕하세요, 야메군 입니다. 회사 개발자들과 미팅을 하다 보면, 간간히 언급되는 용어 중 하나가 트랜잭션(Transaction)인데요. 부끄럽게도 오랜 기간 온라인 서비스 업종에서 일한 저도 느낌적인 느낌으로 알고 있었을 뿐, 트랜잭션의 개념이나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언급되는 트랜잭션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잘 몰랐습니다. 그러던 중 현재 재직중인 SaaS 기반의 모니터링 솔루션 회사, 와탭랩스에서 일하게 되면서 트랜잭션이란 용어를 명확하게(?)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트랜잭션을 한마디로 정의하자면 “하나의 완성된 결과를 내기 위한 연산 과정” 정도로 설명할 수 있는데요. 좀 더 쉽게 설명하자면 이런거죠. 우리가 이용하는 대부분의 온라인 서비스들은 멤버쉽 기반으로 운영됩니다. 한마디로 가입을 해야하고 로..

2008년부터 기획 마인드 강좌라는 타이틀로 근 15년간 주니어 기획자의 성장과 실무적 역량 향상에 포커스를 맞춘 기획 강의를 꾸준히 진행해왔고 벌써 88시즌 째를 맞고 있습니다. 제 강의를 듣는 분들의 상당 수는 주니어 급의 기획자지만 대략 20%의 비율로 기획 경험이 없는 사회 초년생 또는 온라인 분야 외의 영역에서 일하다가 기획자로 전향하고자 하시는 분들입니다. 그런데 이 20%에 해당하는 분들의 가장 큰 고민. 바로 "어떻게 서비스 기획 직군에서 일할 수 있는가?" 입니다. 같은 이유로 강의 중 저에게 상담을 요청하시는 분들이 제법 많은 편인데, 상담의 내용은 주로 "경험이 없는데 포트폴리오를 어떻게 만들어야 할지 모르겠다.." 입니다. 그간 상담에 대한 솔루션은 상담자 본인 외에는 공유하지 않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