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우 :선배님, 그런데요… 아까 KPI 얘기 들으면서 또 궁금해졌는데요.PO 입장에서 전체 KPI 프레임을 설계해야 할 때,그건 그냥 “총 가입자 수”, “총 매출” 같은 거 정리해두는 거예요?그보다 뭔가 더 구조가 있는 것 같던데…선배 :하… 어째 내가 KPI 얘기 꺼냈을 때 눈 반짝이더라.좋아, 이건 좀 제대로 들어야 돼.PO는 단일 지표가 아니라 ’프레임(틀)’을 만들어야 하는 사람이야.다시 말해서 PO는 단순 숫자를 쫓는 게 아니라 제품(Product)의 생애주기 전체를 아우르는 “지표 체계”를 설계해야 해. 이걸 단계 별로 구분해볼께. 먼저 목표 설정 단계야. 구분예시제품 단계신규 제품 초기비즈니스 목표신규 사용자 확보서비스 목표가입 유도 또는 첫 이용 완수선배 :두 번째로 프레임워크를 선택해야..

재우 :선배님! 이번에 기획안에 KPI를 넣으라는데…이거 보통 누가 정하는 거예요?마케터? PO? 기획자?그리고 그냥 방문자 수 같은 걸 쓰면 되는 건가요? 선배 :그걸 지금 물어봐? …그래도 물어본 김에 알려줄게.KPI는 ‘누가’ 정하는 게 아니라, ‘왜’ 정하는지를 먼저 알아야 돼. KPI(Key Performance Indicator)는 “이 서비스가 잘 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야.즉, 성과를 측정하는 나침반이자 증거지. 재우 :그럼 저희 서비스의 KPI는 방문자 수나 가입자 수 같은 거 쓰면 되겠네요? 선배 :어휴. 딱 그게 처음 기획자들이 가장 많이 하는 실수야.방문자 수나 가입자 수는 그냥 숫자일 뿐이야.“우리 서비스의 핵심 목표가 뭐냐”에 따라 KPI는 달라져야 해. 목표잘못된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