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야메군입니다. 오늘은 우리가 비교적 흔하게 접하는 성과 측정지표 중 하나인 MAU와 DAU에 대해 이야기 해볼까 합니다. 다들 아시다싶히 MAU는 “Monthly Active Users” 즉, 월간 순이용자 또는 월간 활성 유저를 의미하고 DAU는 “Daily Active Users” 즉, 일간 순이용자 또는 일간 활성유저를 의미하죠. 각 용어의 의미는 이미 여러 지면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만큼 여기선 생략하도록 하고요, 이 용어들은 과거 UV(Unique Visitor)로 불렸으나 이것을 월간, 일간으로 세분화한 것이 지금의 MAU, DAU 입니다. 해당 지표는 가입자수, 매출, 시장점유율과 더불어 서비스의 성장 여부를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로써 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투자가 필요한 ..

안녕하세요, 야메군입니다. 앞서 MAU, DAU가 당신의 성과가 될 수 없는 이유를 주제로 포스팅을 한 바 있는데요, 이 부분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다루어볼까 합니다.(몇몇 분들의 원성이 있었습니다. "운만 띄우지 말고 방법을 알려줘!!" =_=;) 앞선 글을 간단히 요약하자면 성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검증할 수 있는 목적 지향적 데이터여야 한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퍼널 분석(funnel analysis) 기법을 통해 이탈률을 측정하는 방법을 잠시 언급했었죠? 그런데 지표의 측정방법이 퍼널 분석 하나뿐이냐? 물론 아니죠. 오늘은 실무에서 활용될만한 측정 기법들을 알아보고 적절한 예시를 통해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기법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범용적인 성과측정 기법, 퍼널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