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나 :선배님… 요즘 자꾸 PO랑 기획자를 헷갈리게 보게 돼요.두 역할 다 뭔가 ‘제품을 책임지는 사람’ 같고, 업무도 비슷해 보이는데…정확히 뭐가 어떻게 다른 거예요?🧑🏻💼 선배 :그걸 이제야 물어보면 어쩌자는 거야…벌써 몇 번이나 옆에서 PO 회의 들어가는 거 봤잖아. 휴...…그래도 지금 헷갈리는 게 당연하긴 해. 회사마다 이걸 명확하게 구분 안 해놓는 경우가 많거든.잘 들어, 한 번만 설명할 테니까. 기획자 vs PO: 가장 큰 차이는 ‘책임의 범위’야. 기획자(Product Planner, Service Planner)는? ‘어떻게 만들지’에 집중해.사용자 입장에서 화면 설계하고, 기능 흐름 정의하고, 정책 정리하고… 실무 중심이지.디자이너, 개발자, 운영팀 사이를 왔다 갔..

👩🏻💼 지윤 :선배님, 요즘 업무하면서 계속 헷갈리는 게 하나 있어요.서비스 기획자라는 역할이 정확히 뭘 하는 사람인지 아직도 잘 모르겠어요.디자이너도 아닌 것 같고, 개발자도 아니고, 그렇다고 마케터도 아니고…기획자라는 게 대체 어떤 역할인가요?🧑🏻💼 선배 :좋은 질문이야, 지윤님. 기획자라는 말이 워낙 폭넓게 쓰이기도 하고, 회사마다 역할 범위도 조금씩 달라서 혼란스러울 수 있어.가장 기본적으로 얘기하자면... 서비스 기획자는 ‘사용자에게 가치 있는 경험을 만들기 위해 서비스의 구조, 흐름, 기능을 정의하고 조율하는 사람’이야.이걸 조금 더 풀어볼게. 서비스 기획자의 핵심 역할은 다음의 세 가지 정도로 볼 수 있어. ‘무엇’을 만들지 정의하는 사람어떤 기능이 필요한지, 왜 필요한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