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3월 즈음에 제 블로그의 유입 트래픽을 분석해서 각 검색포털의 전반적인 추세를 살펴본 적이 있었는데, 1년 가량 지난 현 시점에서 그 당시의 트래픽과 비교했을 때, 어떤 변화가 있을지를 살펴봤는데요, 불과 1년여 사이에 큰 폭의 시장 변화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요, 그럼 어떤 변화가 생겼는지 지금부터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 1. 모바일 접속 트래픽의 약진과 네이버의 승리.. 지난 2011년 11월에 체크했던 전체 트래픽 중 Mobile Web의 전체비중이 10%에 못비쳤던데 반해, 2013년 6월 기준으로 15% 가까이 올라온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요, 이는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보급율(%)이 높아진 것을 주 원인으로 볼 수 있으며, 과거 어플리케이션 주도의 모바일 환경..
2000년대 초반부터 블로그인과 네이버 블로그를 운영하다가 2009년 상반기 쯤 티스토리 블로그로 이전한 이래.. 지금까지 총 14만여 분이 제 블로그를 방문해주셨는데, 문뜩 이 분들이 어떤경로를 통해 야메군의 블로그를 찾아주셨는지 매우 쓰잘떼기 없는 궁금증이 생겼기에.. 현재 운영중인 '이상한 생각과 공감' 블로그 유입추세를 살펴 보았는데요, 티스토리에서 블로그를 운영한 초기와 중기.. 그리고 현재로 구분해 봤을 때 등록된 컨텐츠의 질 누적된 양, 그리고 특정 이슈에 따른 사용자의 관심도 및 타서비스와의 연계 여부에 따라, 주된 유입채널이 변화되는 재미있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고 여기에 스마트폰 사용자의 폭발적인 증가에 따라 모바일페이지를 통한 접근도 꽤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그제와 어제, 야메군의 이상한 생각과 공감 블로그에 이틀 연속으로 300회 이상의 방문자가 다녀갔습니다. 평소 신규 포스팅 시 100 여 회 정도의 방문이 이루어지는 것에 비하면 약 세 배 가량의 방문자가 늘어난 것인데 그렇게 다녀갈 만한 이슈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300 회 이상의 방문자 트래픽이 발생했다는 점이, 너무나도 궁금해서 주말 내내 몇 가지 추론을 해 보았습니다. 1. 사상 최대의 황사로 인해, 주말 동안 컴퓨터를 붙잡고 있는 시간이 많아져서 그런가? 2. 다음 뷰 베스트에 오른 것일까? 3. 최근 올린 글(3월 20일)이 이슈메이커가 된 것일까? 4. 다음 뷰 이외의 외부 링크를 통한 유입이 증가한 것일까? 위의 네 가지 근거 중 가장 비과학적인 근거가 황사에 의한 트래픽증가인데 토요일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