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연:선배, 저희 팀이 점점 애자일 방식으로 일하는 걸 시도하거든요.그런데 애자일 조직 안에서 기획자는 뭐부터 해야 하고, 어떤 역할을 맡아야 하는지 아직 감이 안 와요.🧑🏻💼 선배:좋은 질문이야.애자일 조직에서는 ‘기획자’라는 직함보다는 PM(Product Manager)이나 PO(Product Owner) 역할로 이해되는 경우가 많아. 하지만 본질은 같아. 문제를 정의하고, 사용자와 비즈니스 관점에서 제품이 올바른 방향으로 가게 도와주는 일이지.👩🏻💼 소연:음… 구체적으로 어떤 일을 해야 하는 건가요?🧑🏻💼 선배:크게 네 가지로 정리해줄게.1) 백로그 관리 – 우선순위를 정의하고 기능을 구체화해서 팀이 잘 이해할 수 있게 해줘야 해.2) 스프린트 플래닝 참여 – 개..
안녕하세요, 미시깽입니다. 커뮤니티 사이트를 시작으로 포탈까지 개발자로서 일을 대했을때와 어느 정도 연차가 쌓이고 프로젝트 관리도 하며 전산행정 업무도 해보고 난 이후, 여행업계에서 IT총괄을 맡으면서 일을 대하는 제 모습은 참 많이 바뀌었습니다. 아마도 연차가 쌓이고, 전체 프로세스마다에서 업무를 하다보니 프로세스별 담당자에 대한 이해도도 높아지고, 웹개발만 하던 때와는 달리 프로젝트 전반에 대해 이해하기 시작했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IT에는 수없이 많은 개발기술과 수없이 많은 업무분야로 나뉘어져 있고, 그만큼 해당 분야에 대한 전문가들도 참 많은게 현실입니다. 그래서 다양한 의견들도 많은데요, 사실 그 의견들이 모두 맞다고 혹은 모두 틀리다고도 할 수 없는게 IT가 아닐까 싶습니다. IT는 범위..